티스토리 뷰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과 자산형성을 도와주기 위해 출시한 금융상품으로 청년들의 목돈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입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일 수밖에 없는 사회초년생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좋은 조건의 금융상품인데요, 오늘은 달라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에서부터 신청기간 및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청년도약계좌
2024년 청년도약계좌가 제도 개선되어 새롭게 출시되는데요, 달라진 부분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육아휴직자 가입 허용
- 비과세 소득기준 합리화
- 3년 이상 가입 시 중도해지 하더라도 비과세 혜택 유지 제공
- 혼인 혹은 출산의 이유로 중도해지 하더라도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유지 제공
- 청년희망적금 만기자, 청년도약계좌 연계가입 가능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고정 3년+변동 2년)형 계좌로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원하는 만큼 적립하는 상품이며, 매월 최대 6%의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비과세 청년전용 상품입니다.
매월 한도인 70만원을 꾸준히 입금하게 되면 정부지원금까지 받아 최대 5000만원까지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은 반드시 아래와 같은 4가지 조건을 만족하셔야 합니다!
- 연령 : 만 19~34세 사이 청년이면 가입이 가능하며, 병역을 마친 경우, 연령 제한을 최대 6년까지 연장 가능합니다.
- 소득 : 연간 총급여가 7,500만원 이하인 경우,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 가구 소득 :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 250% 이하인 가구
- 금융소득종합과세 : 최근 3년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닌 자
각 은행별로 상세한 조건과 금리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가입 전 반드시 주거래 은행에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자세히 확인하셔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각 은행 모바일 앱으로 간편하게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평소 주거래로 이용하고 있는 은행 모바일 앱에 접속하셔서 신청하시면 되고, 신청하시더라도 심사절차에 따라 계좌개설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은 국민, 부산, 신한, 대구, 하나, 광주, 우리, 전북, 농협, 경남, 기업, SC제일은행 총 12개 은행에서 개설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혜택을 주고 있는데요,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소득 구간별 정부기여금을 지원받으실 수 있으며, 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액입니다. 미리 확인하셔서 신청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오늘은 청년들의 자산형성과 경제적 자립을 위해 만들어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기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4년 계좌개설 기준이 강화되면서 조금 더 폭넓은 혜택들을 받으실 수 있으신데요,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미래에 대한 든든한 기반을 만들 수 있으니 하루빨리 계좌 개설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